문화의 속성 - 5가지 -
1. 공유성
① 의미 : 일정한 환경 속에서 집단을 이루고 살아가는 사회구성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행동 및 사고방식
② 특징
- 사고와 행동의 동질성이 형성되고 구성원들 간에 특정한 상황에서 상대방이 어떻게 행동한 것인가
- 또는 서로에게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 예측이 가능함
- 원활한 상호작용의 기초로 인간의 집단생활이 가늠할 수 있는 전제이자,
- 원활한 사회 생활을 위한 공통의 장을 제공함
- 공통의 경험, 신념, 유사한 생활습관이 일정한 틀로 형성되어 나타나게 됨
- 대표적인 사례로는 '국물이 시원하다', '함 사세요' 등이 의미하는 것을 이해함
2. 학습성
① 의미 : 문화는 선천적이나 유전적으로 타고난 것이 아니라
후천적 학습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며 학습을 통해 다음세대로 전달하는데 학습이 발생함
② 특징
- 문화의 학습은 주로 그 사회의 언어와 문자에 의해 이루어짐
- 개인의 사회적 행동이 문화적 환경 속에서 형성되고, 변화를 보이기도 함
- 베트남에서 태어난 아이가 한국에 자란 경우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움
3. 축적성
① 의미 : 문화는 세대 간의 전승을 통해 축적되며 과거의 내용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
형성된 것으로 새로운 요소가 추가되면서 더 풍부해짐
② 특징
- 주로 언어나 문자 등 상징체계를 통해 전달되고 축적되어 발전함
- 동물들의 단순한 후천적 학습과 인간의 문화가 구분되어지는 기준이 되는 속성으로 문화가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됨
- 삼국 시대의 초기 김치라는 음식문화와 현재의 김치라는 음식 문화는 세대를 거치면서 발전하고 새로운 요소가 추가되어 풍부해짐
4. 총체성(전체성)
① 의미 : 문화의 구성요소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전체를 이루고 있으므로
문화는 부분이 아닌 전체로서 의미를 가짐
② 특징
- 문화 요소 간의 상호 연관성으로 한 부분이나 요소의 변동이 연쇄적으로 다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침
- 한국의 주거 문화가 온돌 문화이므로 이불, 밥상, 방석, 양반 다리 자세 등이 형성됨
5. 변동성
① 의미 : 문화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형태나 의미, 내용이 변화하는 생활양식으로
끊임없이 발전하고 변동하는 것은 인간사회의 특성이기도 함
② 특징 : 훈민정음이 현재의 한글과 다르며, 새로운 언어와 문제가 생겨나고 발전함